2016년 11월 26일 토요일

장강명

글쓰기에 대해 열망만을 갖고 살아온지 오래 되어 이젠 그 열망의 내용이 무엇이었는지도 가물가물하다.
글써서 돈을 많이버는 것이었을까.  유명해지는 것이었을까.
하지만 재능없는 열정만 있어서 결국 아무것도 쓰지 못한 채 사십여 년을 살아왔고 앞으로는 열정없는 독서가의 길만이 확정적이다...

아무튼, 시간이 맞아 방문했던 그제의ㅡ 남산 강연회와 어제 라디오로 들었던 출연분을 통해 한 번도 읽어본 적 없는 요사이 각광받는 작가의 모습을 보고 들은 느낌은 - 신문기자생활십년 후 작가를 한다면 어느 술자리라도 꿀리지 않는 말빨을 갖게 될 거라는... 그리고 글쓰기는 책상에 꾸준히앉아있는게 중요하다는것. 첫번쨰는 나에게 해당사항이 없고 두번째는 가능할 것도 같다.

오늘 그런의미에서 우리의ㅡ 소원은 전쟁이라는 이 작가의 최신작을 도서관에서 빌려서 봤으나... 이응준의 국가의사생활이란 작품과 오버랩된다.  소재만 빌렸다고 하는데 왜 이렇게 같은 책을 본 느낌일까.  그다지 끌리진않았다.

또 하나, 왜 작가들은 한국이 주도하는 흡수통일을 많이 떠올릴까.
그게 쉬운 상상이기도 하고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높은 방안이긴 하다만.. 글쎼...
우리나라는 이미 자본주의가 완성된 단계이지만 북한은 아직도 많은 사회간접자본 투자 등 자본가들의 돈 벌 거리가 많이 남아있는 나라이기도 하다.
이러 걸 노리고 미국 등 서구자본세력이 북한 독재를 눈감아주고 대신 미국자본의ㅡ 진출을 용이하게 한다면,  남한위주의흡수통일이아닌 국제세력의 이익에 맞춘 현 상태의 체계화만 남았을 수도 있을 터이다.
아마 가장 최악의 상황은  북한이 작은 중국의 역할을 하고 우리나라는 크디 큰 대만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?
물론 대만처럼 국가취급을 못 받는 불상사는 없겠지만 작가들이 말하는 통일의 상상은 몇년 후 실제 우리나라가 맞닥드릴 미래와 꼭 일치한다고 볼 순 없을 것이다.

그런 의미에서  보다 자유로운 상상으로 여러 가지 가정을 만들어 내는 재밌는 소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.

그것이 작가가 되길 강제포기당하고  결국 열적은 보통의 독자가 되어버린 자의 작은 바램이다.


댓글 없음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