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7년 10월 10일 화요일

참여연대

새 정부 들어 임명하는 인사들의 공통점은 과거 오랫동안  아니면 잠시나마라도 참여연대에 몸담은 경력이 있단 사실이다.
각종 적폐청산위원회 위원들, 비서관들, 장관까지... 모두 참여연대 출신들이니 그것 참 신기한 일이다.
생각해 보면 십몇년 만에 대장출신으로 구속되는 불명예를 안은 장군도 참여연대 관련 군인권 단체에 걸려 그 끝이 험악해지지 않았던가.  물론 애초에 그런 일이 없도록 집안단속 자신단속을 하지 못한 데 근본적인 원인은 있지만...
그래서 드는 생각인데
참여연대 각종 분과에서 손봐야 할 사람들 명단을 쥐고 하나하나 흔드는 모양새다.
정책 역시 참여연대 내 자체 위원회에서 뭔가 회의해서 뭔가 바꿔야겠다든지 이건 이렇게 해야 겠다는 확신이 들면 이걸 JTBC나 오마이뉴스같은 협업관계의 언론사들에게 뿌리고 추이를 지켜본 후 정부와 협력해 조지거나(사람) 없애거나(조직) 띄워준다.
이쯤 되면 이 단체를 미국의 후버연구소나 윌슨 연구소같은 비영리연구기관으로 봐야 할 것인가 하면 연구하는 게 아니라 말 그대로 정책을 이끄는 단체이므로 단순히 그 정도의 위치를 뛰어넘는다고 봐야 한다.
노무현 정부의 별칭이 '참여정부'라는 것도 참여연대가 강력히 이끈 정부였다는 증거 아닐까. 
정부이름까지 좌지우지하는 권한을 쥐다가 9년을  뻈겼으니... 나름대로 절치부심했으리라.
한 때 국회의원을 하다가 아나운서 성희롱 사건에 이은 연타석 병살타로 지금은 변호사로만 살아가는 강용석 씨의 경우도 결국 참여연대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날을 세운 게 결정적 패착 아니었을까 한다.
아마도 이 단체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했으리라...
현 정부의 적폐청산은 앞으로 대대손손 정권을 창출하려는 참여연대의 가벼운 몸풀기일 것이고 자신들 맘에 들지 않으면 적폐로 엮기는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.

댓글 없음: